오늘의 역사 잡지식 54 : 한글 창제 이전의 한국어
종종 '한글=한국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꽤 있죠
하지만 한글은 문자의 일종이고, 한국어는 언어의 일종입니다
한글과 한국어가 같은 말이라면, 우리 조상들은 제대로 된 말 없이 살았다는 게 되니까요.
그럼 한글 창제 이전에는 한국어를 표기했느냐?
이두, 구결, 향찰 등등 여러 가지 들어보셨겠지만
대전제는 거의 동일합니다.
바로 '한자의 뜻이나 음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한다.'라는 것이죠.
현재의 일본어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본어에서 지금까지 훈독과 음독을 나누는 것처럼, 옛날에는 그런 식으로 한국어를 표기한 거죠.
(이 때문에 고대 한국어 표기법과 일본의 가나 사이의 연관성이 있을 거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요건 제가 잘 몰라서 넘어가는 걸로 하죠)
하나 정도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삼국유사>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옵니다.
"원효가 (경주) 남산에서 내려와 문천을 걸었는데, 이 문천은 사천, 또는 연천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문천이 사천이고, 사천이 연천이라는 겁니다.
한 장소를 가리키는 말이라기엔 너무 이질적이라는 생각이 들죠
여기서 고대 한국어의 시각을 적용해 보도록 합시다.
사천은 모래 사(沙) 자에 내 천(川) 자를 쓰고,
연천은 해 년(年) 자에 내 천(川) 자를 씁니다.
사천의 '사' 자는 '새' 정도의 발음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연천의 '연' 자를 뜻으로 읽으면 '해'가 됩니다.
('천' 자도 뜻으로 읽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면 '새내'와 '해내'가 되었군요.
지역적 배경까지 더해보겠습니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ㅅ과 ㅎ의 발음의 경계가 희미한 양상이 나타납니다.
(형님을 성님이라 한다던가, 힘을 심이라 한다던가...)
그럼 두 단어의 발음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게 되죠.
그렇기에 뜻도 음도 완전히 달라 보이는 '사천'과 '연천'이 동일한 개천을 가리키는 말로 통하게 된 것입니다.
...어떤가요
왜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창제하려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나요?
오늘은 어린이날이지만, 세종대왕님 만세 외쳐보겠습니다
----------여기부터는 사족----------
그럼 '문천'과 '새내'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문천의 '문' 자는 'ᄆᆞ' 정도의 발음이 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옛말로 '새'는 동쪽을 의미했고, 'ᄆᆞ'는 남쪽을 의미했거든요.
(동풍을 '샛바람', 남풍을 '마파람'이라고 부른다는 걸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해당 개천은 경주 월성을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토함산에서 물길이 시작됩니다.
그러니까 '새내'라고 불렸던 거구요.
해당 개천이 월성 근방을 지날 때쯤엔 월성의 남쪽을 흐릅니다.
그러니까 'ᄆᆞ내'라고 불렀던 거에요.
대충 아래 그림 느낌
* 제 전공 분야는 아니라 오류가 있을 수 있슴미다 오류 지적 환영
[오늘의 역사 잡지식 1 : 서동요와 선화공주] https://orbi.kr/00037641895
[오늘의 역사 잡지식 2 : 축성의 달인 가토 기요마사] https://orbi.kr/00037667479
[오늘의 역사 잡지식 3 : 진평왕의 원대한 꿈] https://orbi.kr/00037964036
[오늘의 역사 잡지식 4 : 앙리 4세의 유언] https://orbi.kr/00037996176
[오늘의 역사 잡지식 5 : 신항로 개척과 임진왜란] https://orbi.kr/00038174584
[오늘의 역사 잡지식 6 : 일기토] https://orbi.kr/00038313181
[오늘의 역사 잡지식 7 : 라스카사스 - 반식민운동과 노예 장려] https://orbi.kr/00038777847
[오늘의 역사 잡지식 8 : 동방의 예루살렘, 한국의 모스크바] https://orbi.kr/000393537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9 : 마라톤 전투의 뒷이야기] https://orbi.kr/00039446583
[오늘의 역사 잡지식 10 : 투트모세 4세의 스핑크스 발굴] https://orbi.kr/0003954738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1 : 천관우-한국사학계의 먼치킨] https://orbi.kr/0003956282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2 : 연천 전곡리 유적] https://orbi.kr/000397167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13 : 고대 문자의 보존] https://orbi.kr/00039737161
[오늘의 역사 잡지식 14 : 쿠릴타이=만장일치?] https://orbi.kr/00039810673
[오늘의 역사 잡지식 15 : 러시아의 대머리 징크스] https://orbi.kr/00039858565
[오늘의 역사 잡지식 16 : 데카르트를 죽음으로 이끈 여왕] https://orbi.kr/00039928669
[오늘의 역사 잡지식 17 : 권력욕의 화신 위안스카이] https://orbi.kr/000400432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18 : 간단한 기년법 정리] https://orbi.kr/00040188677
[오늘의 역사 잡지식 19 : 4대 문명이라는 허상?] https://orbi.kr/00040209542
[오늘의 역사 잡지식 20 : 토머스 제퍼슨의 토루 발굴] https://orbi.kr/00040310400
[오늘의 역사 잡지식 21 : 그들이 생각한 흑사병의 원인] https://orbi.kr/00040332776
[오늘의 역사 잡지식 22 : 홍무제랑 이성계 사돈 될 뻔한 썰] https://orbi.kr/00040410602
[오늘의 역사 잡지식 23 : 영정법의 실효성] https://orbi.kr/00040475139
[오늘의 역사 잡지식 24 : 상상도 못한 이유로 종결된 병자호란] https://orbi.kr/00040477593
[오늘의 역사 잡지식 25 : 상나라의 청동 기술] https://orbi.kr/00040567409
[오늘의 역사 잡지식 26 : 삼년산성의 우주방어] https://orbi.kr/00040800841
[오늘의 역사 잡지식 27 : 익산이 백제의 수도?] https://orbi.kr/00040823486
[오늘의 역사 잡지식 28 : who is 소쌍] https://orbi.kr/00040830251
[오늘의 역사 잡지식 29 : 석촌동의 지명 유래] https://orbi.kr/0004084109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0 : 광개토왕비(1) 재발견] https://orbi.kr/000408747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1 : 광개토왕비(2) 신묘년조 발견] https://orbi.kr/0004094750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2 : 광개토왕비(3) 넣을까 말까 넣을까 말까 넣넣넣넣] https://orbi.kr/00040958717
[오늘의 역사 잡지식 33 : 쌍팔년도] https://orbi.kr/00040959530
[오늘의 역사 잡지식 34 : 광개토왕비(4) 여러분 이거 다 조작인 거 아시죠?] https://orbi.kr/00040970430
[오늘의 역사 잡지식 35 : 광개토왕비(5) 텍스트의 한계를 넘어] https://orbi.kr/00040997516
[오늘의 역사 잡지식 36 : 발해 왕사 미스터리] https://orbi.kr/00041005448
[오늘의 역사 잡지식 37 : 도조 히데키의 마지막 작전] https://orbi.kr/00041049555
[오늘의 역사 잡지식 38 : 수상한 반란] https://orbi.kr/00041114108
[오늘의 역사 잡지식 39 : 숨겨진 전쟁, 2차 여요전쟁] https://orbi.kr/00041175117
[오늘의 역사 잡지식 40 : 중국에서 발견된 단군신화?] https://orbi.kr/00041200103
[오늘의 역사 잡지식 41 : 홉스 왕립학회 짤린 썰] https://orbi.kr/00041234691
[오늘의 역사 잡지식 42 : 이사부의 성씨] https://orbi.kr/00041392205
[오늘의 역사 잡지식 43 : 대통령이 된 과학자] https://orbi.kr/00041412750
[오늘의 역사 잡지식 44 : 고구려의 국성은 해씨?] https://orbi.kr/00041584826
[오늘의 역사 잡지식 45 : 가톨릭 두쪽나다, 아니 세쪽?] https://orbi.kr/00041754585
[오늘의 역사 잡지식 46 : 이 성유물을 거짓이다!] https://orbi.kr/00041867048
[오늘의 역사 잡지식 47 : 슬픈 변경] https://orbi.kr/00041921792
[오늘의 역사 잡지식 48 : 사냥꾼인가 처리반인가] https://orbi.kr/00041987200
[오늘의 역사 잡지식 49 : 장수의 비결?] https://orbi.kr/00042601633
[오늘의 역사 잡지식 50 : 광해군의 중립 외교?] https://orbi.kr/00043677568
[오늘의 역사 잡지식 51 : 프리드리히의 비밀] https://orbi.kr/00054442499
[오늘의 역사 잡지식 52 : 원쑤가 된 북한과 중국] https://orbi.kr/00054997784
[오늘의 역사 잡지식 53 : 흔한 국왕의 드립력] https://orbi.kr/0005639407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일이 찾기 귀찮아
-
똥먹는건 씨발 도저히 할 수가 없다 미안하다
-
내가 진짜로 잘못 생각하고잇는건가
-
궁금해서
-
탐구 98.5정도인가요??
-
다른걸로 안되냐 6
시도해봤는데 씨발 이건 도저히 아닌거같다
-
- 3, 4차함수 비율관계 - 2차함수 넓이공식 - 삼각함수의 배각/반각 (미적분)...
-
김과외 찔러보기 0
과외 처음 구해서 잘 모르겠는데 여러군데 상담해봐야함?? 아니면 그냥 한쌤한테만...
-
이분 불러오면 ㅇㅈ한 사진으로 1년동안 자린고비 하실듯
-
늦게 공부를 시작해서 우여곡절도 많았고 걱정도 많이 됐었는데, 다행이네요 :D...
-
낮에 라면을 먹어놓으면 양심상 하루에 라면 두번먹긴 좀 그러니까 참을 수 있게됨
-
함 더 볼까 1
군대 갈까 바로 그냥 무려2트 더 생기는데
-
언매강의는 자기가 사주겠다해도대?
-
이대 다군 예비 0
예비 준건가요?? 예비 못받았으면 힘들다고 봐야겠죠ㅠ?
-
과외 구하는 대학생분들 11
당근에서는 과외생 구하는거 아닌거같아요 네명중에 세명이 당일취소함..
-
(x가 제1원인)->(x가 원인이 없다) : 제1원인이면 원인이 없음(x가 원인이...
-
똥먹는다니까 서버도 흥분하네
-
편의점갈까 0
맥주땡기네
-
프변 완료 12
이제 정상인으로 왔음
-
서버가 터졌어요 축하합니다 물개물개님
-
슈마오 엔딩 1
변태 마리오
-
???????
-
한림 면접 뭐냐 2
변수 ㅈ되네
-
사실 그냥 적분 자체가 생소하고 어려움 40분은 쩔쩔맨 듯...
-
키 큰 여자는 0
넓다
-
몇점까지 뚫릴까
-
참고: https://orbi.kr/00071798419/
-
2월까지 하기로 했는데 2월 셋째주까지 해도 괜찮겠지...?
-
올리자마자 산화 각인데 우회방법을 좀 고민해봐야갯음
-
똥먹기 8
ㅊㅊㅊㅊㅊ
-
에리카 단국대 0
한양대 에리카 인공지능학과 vs 단국대 한문교육과
-
하 프사 추천받습니다 10
ㄱㄱ
-
흠
-
먼가 좀 그러네
-
둘다 ㅂㄱ가 안된대... 이제 20대 초반인데 어쩌냐
-
김범준 스블 0
김범준 스블 듣고있으면 카이스아나토미 책 안 사고 홈페이지에 올려주신 pdf로...
-
처방 받는 건 그냥 병원 가면 되는 건가?
-
https://orbi.kr/00071796973
-
대학생분들 중 용돈 받으시는분들 평균 얼마정도 받으시나요? 부모님께서 평균적으로...
-
마른 여자는 4
재미없다
-
졸립다 0
낮잠때리기엔 시간이 애매하네 벌써4시반
-
원광한 최초합 축하!!! 492(자연) 붙남?
-
1지망 없이 2,3만 있을 수 있나? 삭제도 안되지않나?
-
한명이 여러개 달면 한개만 카운트함
-
원광한 합끼억!
-
초등 수학 잘 가르쳐 줄수 있는데
-
부산대 최초합 6
자랑하고싶었어요
-
오
하나이면서 하나가 아닌… (새내라 쓰고 해내라 읽는다…? 반댄가…)
저 이런게 너무 재밌어서 언어학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이 가더라구요,, 언어학과 가면 되게 재밌을듯
저도 언어학 관심이 꽤 있긴 한데, 여기 와서 보니 고대사 연구할려면 하기 싫어도 해야 겠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