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설계에 대해 알아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666863
서강대 전자공학과에는 회로설계 (반도체 설계) 심화과정이 있는데,
반도체 설계 Flow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고자 하는데 관심 있는 분들은 읽어보세요.
아래는 반도체 설계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고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 어떤 과목과 연결되는지 설명드릴게요
예상 독자 : 서강대 전자공학과에 관심 있는 분으로서 서강대 전자공학과에서 배우는게 어떻게 실제 field에서 연결되는지 설명하는데 원래 내용은 좀 어려운데, 이중에서 약 10%이상만 이해해도 장래에 학업을 수행하고 현업에서 반도체 설계 전문가로 일하시는데 지장이 없을 거예요.
1. 반도체 설계는Spec을 결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즉, 반도체 성능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스펙을 만들기 위해
무슨 기술을 사용해서 어떻게 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칩에 들어갈 CPU (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 처리장치)의 환경설정부터 ISP (이미지 신호처리), MFC (유량 제어기), NPU (신경망처리장치) 등을 얼마만큼의 기능으로 만들어낼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는 당연히 매우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상당한 수준의 예측이 요구됩니다.
2. 스펙이 결정되면 본격적으로 Algorithm을 설계해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더 화사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어떤 알고리즘을 선택하느냐, 더 나은 연결성을 위해 어떤 알고리즘을 통해 무선 연결성을 더 좋게 할 것이냐, 어떻게 하면 카메라로 들어온 사진을 더 깔끔하게 보이게 하느냐. 이런 것들이 Algorithm 설계 단계에서 결정됩니다.
전자공학에서는 이미지, 오디오 등을 “신호” 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신호는 0과 1로 표현한 다음 이 신호들이 왜 좋은지, 어떻게 하면 좋게 할 수 있는지를 배웁니다.
신호를 어떤 방법으로 얼마만큼 처리하느냐, 그리고 이렇게 처리하면 어디가 좋아지고 어디가 나빠지느냐 등을 알게되는 과정이죠.
서강대 전자공학과에서 관련된 과목은 아래와 같아요.
신호 및 시스템, 통신공학개론, 자동제어개론, 랜덤프로세스, 디지털신호처리개론(DSP), 디지털통신개론, 디지털영상처리개론 (DIP) 등. 고급전자회로실험에서는 매트랩을 사용해서 직접 오디오 신호를 처리해 볼 수 도 있음.
이 분야의 매력은 세상을 수학으로 표현한다는 점, 내가 고민한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3. RTL (저장과 연산의 논리) 설계
위에서 결정된 알고리즘을 HW로 구체화시키는 과정입니다.
RTL은 Register Transfer Level의 약자인데, Register (저장)와 그 사이의 Transfer (연산)를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좀더 쉽게 말하면 정보를 연산하는 부분과 그 정보가 연산되기 이전에 잠시 저장되어야 하는 곳들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돼요
우리가 여기서 아래와 같은 의문점을 제기할 수 있는데,
“ 아니 그냥 저장은 하지 않고 쭉 연산하면 되는거지 왜 저장하는 곳도 만들죠?”
그에 대한 해답은 정보가 완벽하게 동시에 전달되는게 아니기 때문이죠.
전자과 학생이 되면 디지털 회로시간과 물전시간에 배우게 되지만 CMOS 회로가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은 절대 0초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됩니다.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 미세하나마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문제는 연산 과정에서 이러한 시간 소요 (딜레이) 때문에 결과값이 오염되게 될 여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라는 정보를 저장하는 놈을 사용해서 연산 결과를 기다렸다가 계산이 완벽하게 다 끝나면 레지스터에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RTL설계단계에서는 디지털 하드웨어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최대한 Area와 Power을 줄이는 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디지털 컴퓨터 아키텍쳐는 대부분 메모리의 trade off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데 레지스터와 SRAM, 그리고 DRAM 중 어떤걸 선택해야 최적의 설계가 가능한지 고민하고 결정하는 단계라고 보면 됩니다.
서강대 전자공학과에서 관련된 수업은 디지털회로설계, 컴퓨터 아키텍쳐, 고급디지털회로설계, 초고밀도 집적회로가 있어요.
4. 다음은 위에서 구체화된 하드웨어를 진짜 실물 하드웨어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은 대충 아래와 같아요.
위의 그림만 보고 반도체 설계를 구체화하는 과정이 좀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는데,
서강대 전자공학과에서
전자회로1, 2, 반도체집적회로설계,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수강하면 아주 속 시원하게 반도체 설계과정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5. 반도체 설계를 바탕을 실제 제조 공정
위에서 반도체 설계가 완료되면 반도체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제조하는 공정인데, 이러한 공정은 화공과, 기계공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공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upport/tools-resources/fabrication-process/semiconductor-encyclopedia-the-eight-essential-semiconductor-fabrication-processes-at-a-glance/
6. 마지막으로 SW 개발 단계입니다.
위에서 반도체 설계와 제조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Chip은 단순 HW일 뿐,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SW를 만들어야 합니다.
칩을 처음 부팅시키고, 각각의 기능 블록들을 하나하나 살려내면서 SW로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반도체와 연관된 SW가 잘 되어있어야 칩을 빠짐없이 제대로 잘 쓸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하드웨어를 매우 비효율적으로 쓰기 때문에 정말 정교한 기술과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기껏 만들어놓은 칩을 제대로 못쓰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까요.
서강대 전자공학과에서 관련된 과목은
전자과 과목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개론/실험, 마이크로프로세서시스템설계(임베디드시스템설계)가 해당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예전에 보낸거라 스크롤올리기 귀찮은데 그 날짜로 바로 가는 방법? 아니면 사진만...
-
서폿이 뺏으니까 닷지하네 ㅋㅋㅋㅋ
-
러셀 현강 교재값이랑 수강료 따로인거지?
-
ㅇㅇㅇㅇㅇㅇ
-
난생 처음봄 지금 작업중인데도 헛웃음이막나와요 ㅋㅋ
-
생윤윤사한지세지세사동사정법경제 다음으로 재밌는과목임
-
외화유출범 등장 5
컹컹 왈왈
-
근데 작년 보니까 과탐 비율이 3월부터는 안 줄었네요 12
3평 44.4% 6평 44.9% 9평 44.5% 수능 44.1% 올해도 3모 과탐...
-
현역 때 멋도 모르고 화생했다가 25수능 전체적으로 조지고 과탐 생지로 갈아탔는데요...
-
물1 무서운 점 5
만점자 41명만 많았으면 만백 98
-
쌍지 어떰 4
한지 잘맞는 것 같은데 쌍지로 갈까유…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합격자 명단에 없고 불합격인데 합격증 나오고 pdf로도 저장함 뭐지 개꿀잼 몰카인가
-
이건 팩트임
-
자세랑 표정이 ㅈㄴ 웃김 ㅋㅋㅋ
-
섬개스완 강의 들으신 선생님들 ㅠㅠ '본교재 개념' 강의랑 '스킬 심층편' 강의...
-
옆동네랑 민심이 너무다르네..
-
국어강사중 프로필 사진이랑 가장 유사하게 잘생김 물론이원준은프로필보다잘생기긴했는데...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아 그냥 0
외박 자유롭게 하고싶으다 부모님 관심 조금만 오프플리즈,,:(
-
나도 당당함 4
내 실친들이 내 오르비계정 알고있음 그래서 맨날 단톡방에 내 만행 박제됨뇨 ㅠㅠㅠ
-
근데 왜 처녀가 없는거냐
-
학번 찾기 0
한양대 에리카 학번 어떻게 찾나요 같은 대학이 아니라도 다들 학번 어떻게 찾으셨나요...
-
이제 친구랑 헤어짐 10
10시?쯤까지 술먹고 방금까지 노래방 갔다가 이제 집감 재미써땅 노래방 진짜...
-
웨안함 ㄹㅇ
-
이런거 일 안 생기게 하려면 그냥 공개하면 되잖아? 공교육 카르텔 만들지 말고, 깔끔하게 공개하자.
-
걍 단지 대학을 더 잘가고싶다를 넘어선 무언가가 있음
-
투과목은 어떨까 ㅋㅋㅋㅋ 찍는애들만 있거나 과목 문 닫거나
-
수면제의 힘
-
뭐 딱히 한거없는데...?
-
저녁전까진 거의 안들어오고 저녁에 운동하면서 글 한두개 올리고 밤에 3~4개...
-
다들 안간다는 사람도 잇길래 가면 친구들도 보고 좋지 않나요?
-
근데 하긴 좀 그럼
-
거의 반반이라 신기하네 또 대부분 이과고 문과가 소수일 줄 알앗는데 이것도 거의 반반임
-
투데이가 안보임.....보는 법 아시는 분
-
사문에 대해 간략히 알려주실수 있나요? 단원별 난이도같은거?
-
통계학과 질문 0
에타에서 확률 하지말고 통계만 공부하라는데 그래도 ㄱㅊ은거?? 확통 아무것도 몰라요...
-
피램 후기 2
독서는 웬만한 지문 다 맞출 정도로 실력이 향상됌. 인강이 안맞거나 독학하는데...
-
약대 사1 과1 0
국영수2등급 영어89 인데 과탐을 물3 에서 쌩노베 생1로 바꿔야한다면 차라리...
-
수분감 step 0,1 -> 뉴런 -> step 2 맞을까요? 처음 풀때 노트에...
-
25수능 사탐 56% 과탐 44% 26수능 예상 사탐 67% 과탐 33% 27수능...
-
아무리 생각해도 대치동 실시간 투표본 너무 심각해보임
-
투데이가 폭주
-
우으 2
추워
-
1. 동아리에 이것저것 들어간다 2. 맘에 드는 거 한두개만 남긴다 3. 계속...
-
올해 기준으로 2사탐으로 합격권 어느정도인가유 전체 3개 이내 틀 정도되나요
-
그래서 저는 제 친구들이 제 오르비 계정 알음
와! 이게 바로 반도체 칩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회로설계 과정이군요.
이걸 이해하는게 엄청 어려운데 그래도 비교적 깔끔하게 정리가 잘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