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도 기출 중요해요?
지금까지 그냥 무지성 문풀만 했는데 영어 공부 제대로 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방학동안 김기철 문해원 -> t339 -> 문접원 -> 수특
이렇게 풀 예정이고, 문해원 끝나서 t339하는 중입니다.
문접원까지 듣고, 수특 풀면서 김기철 해석법 체화하려 했는데 기출도 같이하는게 좋을까요?
등급은 고3 기준 2등급정도 나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해외선물의 장점 1. 풍부한 유동성 2. 먹튀가능성X 3. 펀더멘탈의 존재로...
-
이투스 모고인가... 더프 안보고 이거 보던데 ㄱㅊ나요
-
님들아질문있음 0
수능 박은줄알았던 친척이잘되면 기분이어떰? 옛말에친척이땅을사면...
-
있어도 좋은게 없는거 같아...
-
제 점수는 아니고 점공 제 앞 점수인데 홍대 경영 129.40점은 힘들까요?
-
[수학] 24학년도 6월 주관식ㄱㄴㄷ문제 쉬운 풀이 0
안녕하세요. 간만입니다. 먼저, f(t)는 방정식 의 실근입니다. 근데 이 문제에선...
-
진짜 눈삐었나 단순 사실판단을 못하네 아...
-
문과인데 400만원이 넘어가네.. 국장 없었으면 집 파산했을듯
-
궁금합니다
-
뭐야 내 색깔 3
테두리 왜이래ㅜㅜ 똥색이야ㅜㅜ
-
어떻게든 되겟지
-
수시는 0
재능 노력 운—— 3:6:1 느낌이라면 정시는 재능 노력 운—— 4:3:3 이런 느낌인듯
-
안녕하세요. 9등급을 1등급으로, 91로(路) 영어 연구소 소속 영어강사 Good...
-
뭔가에 씌여서 사리분별이 흐려지는 그느낌이 싫어
-
제발 같다고 해줘
-
내가 애호해줌
-
메디컬 반수러들 1
모집정지되면 그냥 다닐 거?
-
안녕하세요. 이번 26수능 응시하여 한의대 입학하고자 하는 02년생입니다. 고교...
-
아 이제 어케 살지
-
지금 다시 보니까 예비고1 물리학 과외 의뢰였네… 시중에 2022 개정 물리학 관련...
-
영남의 0
영남의 지역인제 컷 몇정도인가요? 추합 예측까지 합쳐서요… 제가 점공을 못봐서...
-
올해 1학기만 하고 입대 vs 1학년 끝나고... 추천 부탁드려요 공군 준비중입니다
-
의외로 괜찮네
-
메가스터디 조교 0
친구한테 메가패스 양도 받아서 썼었는데 조교 지원서에 아이디 적어야되네ㅠ 이름이랑...
-
생각보다 기쁘지가 않네 17
왜그럴까
-
레어 많이삼 1
건동홍첼
-
과외 준비하면서 만든 미적분 공식 파일 공유하겠습니다. 공부하시거나 과외 하실 때...
-
내년에 설자전을 찢을 수 있을것만같은 기분이든다
-
근무 시러 1
시러시러
-
질문 받아요 9
22,23 미적 만점 전컴 주전공 수리/통계 제2전공 (둘 다 한다는 거 아니고 둘...
-
나 그냥 갈께 8
가버렷❤️❤️❤️
-
난안가 5
내가왜가
-
요루시카는 행운의 부적임
-
Vs 투표 ㄱㄱ
-
서울대에 가면 0
외부인들은 잘 모르는 뭔가 다른게 있을까? 약대랑 너무 고민되네…
-
(글을 메인에 올리며)
-
통통이 자작문제 9
풀면 2000덕 증정 8시 반까지 마감
-
ㅈㄱㄴ... 시간 지날수록 환급 범위 줄어드는 거 같아서요
-
지금 매일 6시간 이상씩 유대종 인셉션 독해/문학개념어+체화서만 3회독하면서 붙잡고...
-
지리네 진짜.. 25가 쉬워서 다행이지 24면 걍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2
https://sbz.kr/zdk1D
-
오픈카든 봉고든 타고 얘들이랑 바다가면서 이 노래 틀고 싶음
-
아주대 자전 추합 될수도 있을거 같고, 인하대는 최초합 했습니다 어릴때부터 비행기를...
-
여길봐도 저길봐도 공동선 신자 밖에 없네 할 때 메킨타이어 샌델 나오는거 개웃김 ㅋㅋㅋㅋㅋㅋ
-
나이가 약간 있는 분임?
-
추천해주세요 0
학교는 인천대인데 과가 경기대가 더끌려서 고민이네요..투표해주세요
-
감 잡음 6
-
최저러들 공부 열심히 하시란 의미에서
Q. 기출 중요한가요?
A. 중요합니다.
Q. 문접원까지 듣고, 수특 풀면서 김기철 해석법 체화하려 했는데 기출도 같이하는게 좋을까요?
A. 어느정도 피지컬을 길러두고 문제를 푸느냐, 피지컬을 기르면서 문제를 푸느냐는 각 방법이 일장일단이 있어 무엇이 일방적으로 더 좋다고 콕 집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지금 시기라면 해석법을 먼저 체화한 후 기출을 푸는 게 좋겠습니다.
그럼 t339 -> 문접원 -> 수특 + 기출
이렇게 풀면 될까요?
정식t 믿어봐 글 강의도 보는게 좋을까요?
제가 현재 질문자분의 상태를 정확히 알지 못하다 보니 어떤 강의를 들으면 좋다/나쁘다 딱 정해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그 대신, 원론적인 답변이겠지만 믿어봐 강의에 적혀 있는 수강 대상이 본인과 부합한다면 듣는 게 좋다고 말씀드릴 수는 있습니다.
고3 문제 기준으로 2점짜리는 앵간하면 읽는데 무리가 없는 수준입니다.
3점짜리는 문제에 있는 어려운 문장 1개 ~ 2개 빼고는 얼추 해석이 되는 정도입니다. 3점짜리는 약간 뭉개서 읽거나 흐름만 파악하는 경향이 생겨서 감으로 푼다는 느낌을 받는 중입니다.
구문 강의와 기출 강의를 통해서 조금 더 확실한 독해 능력을 기르려는 것이 목표입니다.
현 상태에서 기출 분석을 할 때,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1. 어려운 문장, 소위 '킬러 문장'이라고 불리는 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고교 수준의 문장이 아닌 건 맞습니다. 이런 문장들도 정확하게 읽어내려면 영어 공부를 제대로, 또 많이 해야 하는데.. 절평 기조에서 이렇게 공부를 하지 않다 보니 강의들도 자연히 그 니드에 맞게 그런 문장을 정확히 읽고 이해하기보다는 맥락으로 대강 넘겨 해결하는 쪽을 많이 지향합니다.
반대로 독학으로 공부해나간다 해도, 그 정도 고난도 문장들은 독학으로 공부해서 제대로 읽는 건 사실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서 읽는다고 해도 수능은 시간이 한정된 시험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이미 손해입니다. 듣도 보도 못한 여러 고난도/지엽적/이상한 문법/구문개념들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복합 형용사, 관계대명사 as/than같은 건 그냥 기본이고, to부정사구가 '절'로써 기능하여 관계사절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야 하는 등 생각하시는 것보다 공부할 게 많습니다.
물론 그 분량이 답도 없이 많다거나, 끝내는 게 불가능하다는 그런 맥락은 아니지만, 결코 쉽지도 않다는 얘기입니다.
2. 만약 질문자분이 구문 강의/기출 강의를 들어본 적이 없다면 그런 강의를 들어보시는 게 독해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미 어느 강의를 택해서 열심히 들어봤는데 지금 상태라면, 지금의 그 상태가 이미 강의를 통해서 도달할 수 있는 독해력의 한계점 그 근처 어딘가라는 겁니다.
3. 질문자분이 말씀하시는 '독해력'이 영어로 적힌 글을 정확하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라면 기출 분석보다도 좀 더 깊은 내용을 다뤄주는 문법/구문독해 강의나, 그런 교재를 사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어차피 질문자분이 막히는 그 킬러 문장들은 스스로 독학으로 분석한다고 해도 정확하게 분석하여 거기에 사용된 문법/구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건 어렵다고 봅니다.
만약 강사님들처럼 제대로 읽고 제대로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앞서 말씀드렸듯이 일반적인 커리큘럼, 다른 학생들보다 공부를 많이 해야 하고, 그럼에도 그 정도 수준을 지향하신다면 제가 집필에 참여한 문법/구문독해 독학서가 제가 아는 한 유일한 대안입니다.
결론은, 현실적으로 생각해 봤을 때 지금 영어를 아예 못하시는 것도 아니고, 영어 욕심이 따로 있으신 게 아니면 그냥 기출 강의 들으시고 스킬 잘 익히시며 기출을 분석하시고, 그 과정에서 어려운 킬러 문장을 완벽하게 읽으려 하시기보다는 대강 맥락에 맞게 잘 비벼 읽는 연습을 하시는 게 더 낫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