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와 과탐의 연관성(경험에 비추어)
최근 이공계열의 학생들의 경제학과 진학이 부쩍 많아진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과거 이과 학생이었고, 물리1 화학2 수능 응시 후 대학에 진학한 학생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탐구를 공부하였던 것이 아깝기도 하고, 경제학과 기존 이과공부의 차이에 대해 많은 거부감? 혹은 공포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경험한 결과 학문이라는 것이 많이 연결되어있고, 저는 물리1 화학2 과목에서 공부했던것과 유사점을 많이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선 미시경제학 파트의 일반균형 파트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경제학에서 일반균형이라 하면, 모든 소비자가 예산제약하에 효용이 극대화 되는 상품묶음을 선택하고, 모든 기업은 주어진 여건 하에서 이윤을 극대화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생산요소를 공급하고, 상품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균형점을 의미합니다.
이때 생산은 잠깐 제외하고, 순수 교환시장에서만 생각해 볼 경우
이때 소비자간의 계약 가능점들을 이은것을 에지워즈 박스(위 그림입니다.) 계약곡선이라고 부릅니다.
이때 우리는 최적의 균형점을 찾기위해서 '미분'을 사용합니다.
보통 물리에서 미분은 속도를 미분하여 가속도를 구할때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경제학에서는 효용의 변화량 즉 한계효용을 구하기 위해서 미분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물리, 수학에서 공부하였듯 미분은 '변화량'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서 A를 한개 얻었을때의 한계효용, B를 한개 얻었을 떄의 한계효용 등을 구하기 위해서죠.
그리고 이 균형점은 각 소비자들의 A, B 상품의 한계효용비가 일치할때 이뤄 집니다.
즉, 다르게 설명하면, 서로 다른 두 소비자들의 각각의 물건의 가속도가 일치할때가 최적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를 화학2에서 배우는 화학반응식 적으로 설명하자면, 화학식에서의 우변과 좌변의 반응 속도가 일치할 때라는 뜻 입니다. 즉 평형상수 개념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참 재밌습니다. 사람들간의 최적점이 평형상수라니 그러면 여기서 하나더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각 사람들의 균형점을 평형상수라고 생각한다면, 각 사람들의 효용은 반응 속도라고 생각할수 있겠네?
놀랍게도 효용식이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경제학적 함수를 이렇게 표현하진 않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콥-더글라스 함수식을 보면,
와 같이 놀랍게도
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경제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산함수, 즉 노동과 자본을 투입하여 얻어지는 산출물에 대한 함수는 콥 - 더글라스 생산함수로 표현되는데, 이는
진짜 놀랍도록, 화학 반응속도식과 똑같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또한 유사하구요.
이렇게 화학2와 연관되어있는 부분 말고도 경제학에는 과학적 사고방식과 연관되어있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최근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있는 DSGE모형(동태확률 일반균형)은 미시적인 모든 사람들의 행동을 확률적으로 규정하고 이를 적분하여(쌓아올려) 거시적으로 경제적 동태를 예측합니다.
마치 양자역학에서 미시세계의 작은 원자의 행동들은 확률적으로 계산하고, 거시적인 현실세계에서의 움직임은 역학으로 구현해 내듯이요.
금융분야로 넘어간다면, 그 유명한 블랙숄즈 방정식이 브라운운동에서 차용된 식이라는 것 또한 유명합니다.
브라운 운동 공식
블랙 숄즈 공식입니다. 이처럼 물리학 또한 경제학에 영향이 많고 유사한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보다 학문들은 굉장히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사회과학에서 가장 수리적인 분야인 경제학은 그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학문 중 하나입니다.
저처럼 물리1 2 화학1 2 까지 고교과정에서 모두 학습하였고, 순수 이과였지만, 경제학과에 관심이 생긴 학생들은, 이제것 배워왔던 공부의 아쉬움과 앞으로 전혀 다른것을 공부해야한다는 두려움이 있겠지만, 적어도 경제학에서는 그렇게 아쉬워 할 필요도, 두려워 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결국, 수능은 저희의 많은 지식을 테스트 하는 시험이 아니라, 수학능력 시험이며, 수리적, 과학적 사고방식은 어디든 활용 활 수 있는 좋은 무기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주대 발표 0
오후 2시네요
-
에휴 0
에휴..
-
설뱃달앗당 2
-
뱃지 왔다 7
일한다 오르비!
-
커담 2
-
일단 나는 0
학교뱃지를 딸 깡은 없어
-
설 뱃 등 장 13
이제 에피만 달면 완성
-
설연의뱃 ㄷㄷ
-
ㅇㅂㄱ 1
4.2 지진 괜찮을랑가 몰라유...
-
오르비특 5
씹덕프사달고이상한얘기하던사람들 갑자기 sky뱃메디컬뱃달고옴 배아파
-
육군아미타이거 0
육군육군육군
-
그 분들이 붙어줘야 되는데
-
전 04부터 틀ㄸㅏㄱ..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생윤 임정환 림잇이랑 임팩드 듣고 현돌 하려고 하는데 생지하다 사탐런해서 완전...
-
소신발언 0
설경은 경영이 아니라 경제가 맞다고 생각해요... 반박시 님말이 맞음
-
돈도 벌고싶고 수능 봐서 메디컬 가고싶고 어려운 나날
-
(발로 풀어도 나올 수능점수를 받고 수시로 약대를 가며) 에라이 퉤퉤
-
궁금합니다... 만약 붙으면 통학 불가능한 거리라 기숙사 가야되거든요... 혹시...
-
드디어 졸업식! 2
N수 괴물이되어버렷
-
동국대 중문: 가면 복전 or 전과 노릴 듯 낭만픽으로 영화영상을 가거나 아니면...
-
1. 문장을 정확히 읽고 그 문장에 쓰일 전략을 도출한다 2. 그 전략을 바탕으로...
-
당분간안들어올듯 3
-
흠흠흠 영어공부 하기싫어서 3달째 안하고있는데 단어라도 좀 외워봐야하나 ㅋㅋㅋㅋ
-
나다 d-279 다시태어난다
-
나 또 눈사람됐어
-
뱃지존버중 4
나도설뱃.
-
오늘 알게된것: 0
이메일 보내놓고 거기에 답장으로 메일 하나를 더보내면 내 메일이 표시되는 위치가...
-
가기만하면 되나요? 따로 신청할건 없나요?
-
수학 중3때 놓았고 이번 수능 26122 이번에 기숙 들어가는데 가면 인강도 맘대로...
-
유명컨설팅훅이 0
70 넘게 주고 유명 컨설팅에서 받았는데.. 돈 아깝네요 나군에 펑크 노리고 쓸만한...
-
구웨엑
-
생각보다 엄청 많네 다들 안궁금한가?
-
서울대생들 오티 가나요 10
지금 하루종일 캘린더 보면서 일정 조정하는중임 입학하기 전에 해야할게 많네요
-
설 간호 1
최초합 컷이 대충 어떻게 되나요? 396이 붙을 수 있을까요 내신 BB라는 가정...
-
심찬우 선생님 강의듣는중인데 생감때 독서 풀 문제집이 비는데 연필통은 김동욱 선생님...
-
지방이라 오전참석은 빡센데 오후부터 참석하는건 불가능하겠죠 ?
-
알맹이>라봉이>오댕이>오리비>비둘기 다들 동의하죠?
-
공부하러간다 1
가즈아
-
얼부기 0
ㅔㅏ
-
경제 22학년도 이전 기출도 풀어볼만한 가치가 있늠? 6
진짜 컨텐츠 가뭄이라 이런걸 풀게될줄은 몰랐네 혹시 내용 추가/빠진거 있나요
-
알맹이 라봉이 오리비 오댕이 비둘기 얜머냐 얘도오리비임?
-
서울대 하.. 1
내신bb랑 cc차이 큰가요?? 검고라 노력하면 bb받을수있는데.. 이 악물고...
-
얼 버 기 12
흐흐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네네
-
하씨 하기싫은데 경제 개념정리나 할까
-
작년 수능 원서접수도 온라인으로 하고 날짜 맞춰서 행정실 가서 확인 받으면 됨..?...
-
지진이었다기 보단 폭탄이 터지는 소리같다는 증언들이 많음
인정.
오...그렇군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28.gif)
확통92점인 내가 할수있을까..수능 수학은 계산이상의 것을 요구하는 측면이 있어서 사실 대학 공학이나 경제학 공부의 경우
수학을 도구로 사용하기때문에 막 엄청난 수리적 능력을 요구하진 않습니다.
다만 수능 잘본 학생들이 보통 머리도 좋고 숫자도 친하니 잘할 가능성이 높을 뿐이죠
오펜하이머, 아인슈타인 등도 수학을 잘하긴 했지만 수학이 특기는 아니었습니다. 영화에서도 나오듯
"The important thing isn't can you read music, it's can you hear it. Can you hear the music, Robert?"
악보를 읽을 줄 알면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