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립적 어근이란 무엇인가
비자립적 어근이란 무엇일까?
전통적으로 국내 국어학계에서 형태론을 다룰 때 ‘어근'은 실질적 의미를 지니는 나타내는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풀이되어 왔고 ‘어근'을 그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규칙 어근과 불규칙 어근으로 나눠 왔다.
24 수특에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나왔는데 정답이 5번이 아니라 3번이라고 한다.
EBS에서 5번을 오답으로 본 이유는 ‘비자립적 어근'이 ‘비자립적'이기만 한 어근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도 보이다시피 대부분 5번도 정답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Yoon33이란 분이 아주 좋은 추론을 하셨다. “비자립적 어근하고 용언 어간하고 좀 따로보라는 의도 아닌가 싶음"이라고 하셨는데 실제로 용언의 어간과 비자립적 어근은 구별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아까 “‘어근'을 그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규칙 어근과 불규칙 어근으로 나눠 왔다.”라고 하였는데 용언의 어간은 그 어간만 보고서 그것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있다. 무슨 소리냐면 용언의 어간이 어근과 일치할 경우 그 어간만 보면 그 어근이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알 수 있단 것이다. ‘덮’과 ‘접', ‘꺾' 모두 동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특에 비자립적 어근의 예시로 나온 ‘보슬비'를 보면 ‘보슬' 자체만 놓고 보면 얘가 명사인지 부사인지 확정을 할 수가 없다. 명사거나 부사면 단독으로 쓰여야 하는데 그러지도 않고 용언이라면 뒤에 ‘-다'와 같은 어미가 당연히 와야 할 건데 그렇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게 뭔 뜻이냐면 ‘보슬' 같은 말들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반드시 복합어의 어근으로만 쓰이기에 어근의 품사와 의미를 확정할 수 없다는 거다.
이는 용언의 어간과는 다른 것으로, 일반적으로 불규칙적 어근은 첩어를 이루거나(하늘하늘), 뒤에 명사가 오거나(보슬+비), 파생 접사가 와야(아름+-답-, 깨끗+-하-, 등) 한다. 그러나 용언의 어간 뒤에는 어미라는 것이 올 수 있어 이들의 품사를 확정할 수가 있다. 즉 접사나 어미 혹은 다른 단어가 다 붙을 수 있는 용언의 어간과는 성격이 다른 것이다.
즉 단독으로 쓰이는 예가 없는 것은 용언의 어간과 비자립적 어근은 ‘비자립성'이라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지만 더 깊이 들어가면 의미와 품사를 확정할 수 있느냐 없느냐까지 가야 하는 문제이다.
참고로 ‘불규칙적 어근'이란 용어는 고영근(1972)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어떤 품사와도 구조상의 공통성을 갖기 어려운 불규칙성을 띤 어근’으로 규정하였는데 아무래도 고영근 교수가 학교문법에 큰 영향을 미쳤기에 이 의미를 그대로 가져간 게 아닌가 싶다.
아래는 고영근, 남기심의 표준국어문법론의 일부다
“규칙적인 어근은 어근의 품사가 분명하고 다른 말과 자유롭게 통합될 수 있으나, 불규칙적 어근은 품사가 명백하지 않은 어근을 가리키는데 다른 말과의 통합이 제약되어 있다. ‘집, 신, 높’ 은 품 사가 명확하고 조사나 어미가 자유롭게 붙으므로 규치적인 어근이며, 이는 단어형성소에 속한다.
예) 아름답다 – 사람답다, 신사답다 / 따뜻하다 – 가난하다
‘아름답다’의 ‘아름’은 ‘사람답다, 신사답다’ 의 ‘사람, 신사’와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으나, 자립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격조사가 붙을 수 없어 품사를 분명히 할 수 없다. 이러한 어근을 불규칙적 어근 이라고 한다. 불규칙적 어근은 제한된 접미사와만 통합되는데 이런 형태소를 불구형태소(unique morpheme)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불규칙적 어근' 내지는 ‘불완전 어근' 또는 ‘특수 어근'이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비자립적 어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학생들을 혼동시키는 게 EBS가 할 짓인가 싶긴 하다. 누가 봐도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마냥 자립성만으로 구별해야 되는 것처럼 보이는데 말이다.
결론: 비자립적 어근이란 ‘불규칙적 어근'의 이칭이며 원래는 ‘품사가 명백하지 않은 어근’을 뜻하는 말이다. 따라서 용언의 어간에는 어미가 붙어 쓰인다는 점에서 품사를 확정할 수 있기에 비자립적 어근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히히
-
고 -> 설 0
문과고 수학만 조금 올리면 될 것 같은데 무휴반 할까..?
-
투데이 수 너무 만족스러워
-
왜남의과는빵만나냐?
-
우석대 약대 기균 있으신가요?
-
세상이 왜 이러지
-
추합 특성상 그럴 거 같긴 한데 아무도 모르는 건가요?
-
추천좀
-
과외선생모드on 3
어떻게든 과외생 갱생시킨다 재수포기해서라도 ㄹㅇ
-
저녁에 침 떴는데 지금도 근육이 이완되는 중
-
고대망함? 0
먼일
-
하 진짜 10년간최악의난이도라면서요 기상쌤??????????????????????
-
끝까지 고민하다 안쓴 과 두군데가 궁금해요ㅠㅠ 쪽지 기다립니다
-
의예과 질문 0
의예과 들어가면 물리를 하나요? 아니면 선택적으로 물리를 할 수 있나요? 많이들 공부하나요?
-
귀 여 워 7
귀여우어ㅓ어어ㅓ어어어ㅓ어어
-
최종컷 650 아래는 확정임 실지원에 656 아래가 싹 도망가버려서
-
제 선배님 되실분?!
-
[실모 배포] ØnlyTraY's GIVE-UP 물리학2 모의고사 배포 2
이전 모의고사 보러 가기 : https://url.kr/y1jssg 저의 두 번째...
-
집안에서 뒤늦게 한양대학교 경영학사 한명 나옴 ㄷㄷ
-
역사 언어 국제이슈 같은걸 좋아해서 문과로 가자 했거든요 근데 제가 미기확 물리...
-
꼬냑 맛있다 4
헤헤
-
경주월드 0
가보신 분? 잼
-
예쁜데?
-
바람이 너무 강해..
-
과탐 과목별 분량 궁금합니다 생1 vs 지1 vs 생2 입니다 개념양 자체가...
-
궁금합니다.
-
90 85 3 96 98 국수영탐탐 화미사탐으로 맞는다는 가정이요
-
과외 구해요.. 1
이번 수능에서 42311 맞은 이과 남학생입니다..어휘력도 많이 부족한것 같고...
-
여긴 없나
-
코가 커서 그런거에요?
-
왜 재미가 없지 12
뭘까
-
왜 등록 안하냐고 전화안해줫다 한양대는 해줘ㅛ는데
-
정시 지원기간도 다 끝났고 2월 중순돼서 추가모집한다는데 이론 대학교들은 뭐임 ㄹㅇ?
-
배그하러간다 2
히힝
-
생명과학에서 런했는데 아직 결정 안함 ㅋㅋㅋㅋ 사문이 개념 더 적다고 해서 갈거같긴...
-
학교 사이트에 0
제적이라 뜨면 자퇴된건가요?
-
무슨 바겐세일인가
-
김지우가누군데 7
불합을 바라는사람이 저렇게 많음?
-
존나 웃기는건 2
중앙대 예비도 빠졌는데 동국이 아직 예비라는거임ㅋㅋㅋㅋ 최초합했는데 안빠진 얘들은 뭐지 궁금하네
-
올해 평균 등급,백분위 여쭤볼수있을까요? 선택과목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ㅇㅇ 성균관대 나군 경영 1차 추합 조발
-
지금 정시 추가모집3차 하고있던데 올해 현역 수능 개망해서 부모님이 이거라도...
-
야식 먹고싶은데 0
여드름 날까봐 무섭다
-
혼자 저 밑에 있던데 입결표에서 ㅋㅋ
-
탈조선해야 한다…라는 말은 많은데 우리나라보다 전망 좋은 나라가 딱히 많아 보이진...
-
무휴학 삼반수...를 하였기에 이번이 정말 마지막 입시라고 생각하고 처음으로 정시...
-
글고 예약구매햇는데 언제나오나요
-
잇올 끝났습니다 1
흐흐
-
제발 붙어주세요 제발 붙어주세요
자립적으로 품사가 결정되지 않아서 비자립적 어근인거구나 ㅜㅜ
감사합니다 좋은 거 알아 가네요
이거진짜좋네